<p></p><br /><br />불가리스가 코로나19 억제 효과가 있다 주장했던 남양유업. <br> <br>논란 끝에 세종공장에 대해 '2개월 영업 정지' 사전 통보를 받았죠. <br> <br>"세포 단계 실험이었는데 오해를 불러일으켰다"며 사과는 했지만 <br> <br>실험 방식 자체가 문제 있다는 지적도 많았는데요. 팩트맨에서 국제기관에 직접 확인해봤습니다. <br><br>먼저, 지난 13일 남양유업 연구소가 참여한 심포지엄입니다. <br> <br>남양유업 연구소 측은 불가리스의 코로나19 억제 효과가 77.78%라고 주장하며 이렇게 말합니다. <br> <br>[박종수/ 남양유업 항바이러스면역연구소장 (지난 13일)] <br>"이런 제품을 먹었을 때 예방이 되느냐 하는 측면을 봤을 때는 분명히 저는 예방이 된다고 봅니다. 섭취를 했을 때 효과가 저는 있다고 이렇게 확신합니다." <br> <br>남양유업 측이 밝힌 실험, ASTM E1052-11 방식인데요. <br> <br>앞에 붙은 ASTM은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 표준 개발 기관이고 뒤 숫자는 지정번호입니다.<br><br><br><br>연구소 측은 실험 방식이 "미국의 바이러스 성능 평가를 위한 테스트 표준"이라며 공인된 방식이란 걸 강조합니다. <br> <br>과연 이 실험으로 불가리스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알 수 있는 건지 팩트맨이 표준 테스트 방법을 제정한 ASTM 측에 문의했습니다. <br> <br>ASTM 측은 답변을 통해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지적했습니다. <br> <br>"식품 시험을 위한 지침이 아니"라는 건데요. <br> <br>"손 세정제 같은 소독제가 바이러스를 억제할 수 있는지 시험할 때 쓴다"는 겁니다.<br><br><br><br>특히 "인체에서 식품의 항균 효과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사용하면 안 된다"고 강조했습니다.<br><br><br><br>게다가 이 표준은 지난해부터 새로운 표준으로 대체된 상태입니다. <br> <br>실험을 일부 변형해 진행했더라도, 남양유업 측이 진행한 세포 실험은 결국 살균소독제 테스트용 실험이란 지적입니다.<br><br><br><br>남양유업 측은 이 실험을 근거로 "코로나19 바이러스 감소·억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" 결론 내렸죠. <br> <br>실험 방식에 대한 팩트맨 문의에 회사 측은 공식적인 해명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서울경찰청은 남양유업 사건을 금융범죄수사대에 배당하고, 본격 수사에 착수했습니다.<br><br><<심포지엄을 주관한 한국의과학연구원 측은 채널A 보도 이후 (4월 22일) "ASTM E1052-11 방법은 식품 평가 목적의 항바이러스 평가 기준은 아니지만, 섬유나 필름, 유리 등의 고형 시료 분석 방법으로는 액상 시료 평가가 불가하므로 ASTM E1052-11이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준용되어 진행이 되었다"고 밝혀왔습니다.>><br><br>서상희 기자 <br>with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장명석 <br>연출·편집: 이혜림 PD <br>구성: 박지연 작가 <br>그래픽: 박소연, 김민수 디자이너